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ett 증후군: 단순한 뿌리를 가진 복잡한 질병

전문가 제언

레트 증후군(Rett syndrome: RTT)은 아주 심한 신경실환 증후군이다. 이것이 성염색체 X에 연관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MECP2 (methyl-CpG-binding protein 2)이 원인으로 생기는 별개의 병으로 알려진 이후 진단에 대한 임상적인 기준이 점진적으로 명확해졌다. 전통적인 RTT는 10,000명에 하나 꼴로 영아(주로 여아)가 출생해서 6개 월 동안은 정상으로 발달하는데 점차 머리성장이 멈추고 성장보조를 맞추지 못하며 말도 못하며 호흡곤란과 함께 무의미한 손놀림이 반복되는 증상을 갖는다.

 

지난 20년 동안에 MeCP2p 대한 연구는 이 단백질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염색질(크로마틴) 단백질로서 신경생물학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게 됐다. 최근에는 MeCP2p 단백질 내에서 돌연변이의 스펙트럼이 RTT증후군의 스펙트럼과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으며 MeCP2가 염색질과 NCOR-SMRT복합체 사이에 교가 역할을 하는 것과 그리고 MBD (methyl-CpG-binding domain), AT-hook20 등이 DNA와 염색질과 연결되는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원래는 MeCP2가 DNA의 CpG dinucleotides의 메틸화된 된 cytosines과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며 MeCP2의 MBD이 수식된 cytosines에 결합한다. 마우스의 섬유모세포에서 MBD 아미노 말단이 MeCP2와 매개되어 메틸화된 이질염색질 foci에 밀집됨으로 이도매인이 in vivo에서 기능단백질 도매인으로 보고 있고 MBD의 돌연변이는 메틸화된 DNA에 결합하는데 장애가 생긴다.

 

MeCP2는 유전체 전반에 연결되고 크로마틴 단백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MeCP2는 특정한 표적 유전자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지만 전사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본다. 국내에서는 아직 유전병이나 핵과 전사관련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많지가 않다. 그러나 Rett와 MeCP2 같은 모델은 앞으로 유전체와 후생유전체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Matthew J. Lyst and Adrian Bir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16()
잡지명
Nature Reviews Gene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61~274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