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업폐품 저감과 재사용: 산업설계자를 위한 제안된 방법

전문가 제언

이탈리아에서 도시폐기물과 특별폐기물은 버릴 필요성이 있거나 버려야만 하는 물질로 구성된다. 도시폐기물이 국내 또는 공공부문에서 만들어지는 반면 특별폐기물은 농업, 공업, 수공업, 또는 폐기물처리공장과 같은 민간분야에서 만들어진다. 폐기물은 특정한 부품을 만들기 위해 조성된 제조공정의 비가치 결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폐기물은 폐품과 불량품으로 크게 두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상품설계를 위한 새로운 방식으로서 여기 제시된 방식은 설계자들이 폐품 재사용에 기초하여 제품들을 개발하도록 하는 수단이 되도록 고안되었다. 이 방식은 1단계는 폐품 최적화, 2단계는 불가피한 폐품 분석, 3단계는 폐품 설계 등 세 개의 주요 단계로 구성된다.

 

강철제품의 경우 2011년 폐기물 생산량(폐품과 불량품)이 반제품(half-finished) 총 질량의 11%를 차지했다. 다양한 종류의 폐품과 불량품 중에서 쇠파이프 자동절단공정에서 나온 폐품이 재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고 고분자 열성형의 경우도 고분자 표준시트에서 시작되는 구성요소의 열성형과 컴퓨터수치제어(CNC) 밀링으로부터 얻어지는 폐품도 잠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광업과 채석활동에서 발생한 폐기물이나 폐품을 전통적인 매립처리보다 복합재료로 이용을 통하여 폐품을 줄일 잠재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고 세라믹 폐기물에서 기존의 것보다 내구성과 성능이 개선된 새로운 구체적인 방법을 얻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산업폐기물이란 산업 활동에 수반하여 생기는 폐기물 중 연소 찌꺼기,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칼리, 폐플라스틱류, 기타 법이 정하는 폐기물이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폐기물에 대하여 여기에 제시된 상품설계의 새로운 방식을 참고하여 설계자들이 폐품 최적화와 불가피한 폐품 분석 및 폐품 설계 등을 기초로 한 제품들을 개발한다면 경제적 환경적 이점이 과대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Francesco Pacelli, Francesca Ostuzzi, Marinella Lev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86()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8~87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