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신경외과용 로봇 개발 사례

전문가 제언

수술지원용 로봇에 대한 분석평가 자료는 대부분 소화기, 전립선, 산부인과, 심장과 같은 체내 기관을 대상으로 한 로봇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시스템이 마스터/슬레이브 타입의 da Vinci 로봇시스템과 같이 머니퓰레이터와 겸자(forceps), 3D 비전시스템 등을 다루고 있다. 이 자료는 일본의 Shinshu대학 뇌신경외과 연구진이 뇌신경외과용 로봇개발 사례를 다룬 중요한 자료다.

 

동 연구진은 1996년부터 최근까지 NeuRobot → EXPERT → iArmS → RAHS 등 뇌신경외과용 로봇시스템개발을 지속해왔다. 모두 뇌신경외과용이지만 각각 기술적으로 계속 진화시키고, 신규 의료기기 개발사용규정(약사법)에 따른 임상적용 제한(NeuRobot) 이후 규제를 회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개발에 도전해온 것이다.

 

개발해온 로봇시스템들은 각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이미 개발실적이 있는 시스템기술을 활용하여 개량하고 마스터-슬레이브 메커니즘을 뇌신경외과용으로 적용하고 있다. 특히, NeuRobot(경제산업성 NEDO프로젝트), EXPERT(문부과학성 프로젝트), RAHS(문부과학성 프로젝트) 등 뇌신경외과용 로봇기술개발 프로젝트들이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의학?공학?기업의 의공협력 개발시스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자료의 작성자는 로봇개발에 참여해온 신경외과 의사들로서 수술지원용 로봇개발에서 의학?공학 간의 소통과 협력, 동일한 목표의식의 중요성, 제품화 판매를 전제로 할 때 개발기기의 사회 필요성, 코스트, 판매가능 수량 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국내에서는 수술지원용 로봇시스템 개발프로젝트가 최근 S사에서 검토된바 있으나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는 않다. 뇌신경 로봇시스템의 경우, 전남대와 한양대에서 학위논문으로 발표되고 있는 수준이다(NDSL 검색결과). 전남대의 경우 “힘방향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의 튜블라 뇌수술 로봇시스템 연구”(2010)가 주목된다. 앞으로 연구계의 관심과 의공협력에 의한 정부의 연구프로젝트 지원이 요청된다.

저자
GOTO T., HONGO K.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2015(222)
잡지명
ロボッ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4~18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