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생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치료 전략

전문가 제언

  항생제의 오남용문제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사람에게 감염증 치료제로서의 과다투약 문제 외에 수의용과 양식장에서의 항생제 남용과 그 결과로 양식어업이 성행하는 동남아 일대를 중심으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문제의 심각성을 경고한 바 있다.

 

병원성 세균 내성의 증가추세는 세계적으로 건강관리 시스템에 막대한경제적/사회적 부담을 주고 있으나 불행하게도 효용을 잃고 있는 현재의 치료제들을 대치하는 새로운 항생물질의 개발은 크게 뒤처지고 있다. 따라서 미생물 진화와 싸우기 보다는 내성 연구에서 얻은 지식을 토대로 미생물의 내성 획득 메커니즘을 표적으로 하여 내성을 차단하는 연구도 하나의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세균 내성연구소가 WHO의 항생제 내성관찰 네트워크에 가입된 연구소로서 내성 세균의 검출, 확인과 내성 방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균에 감수성 있는 약제의 선택에서 임상에서 환자에 적용 시까지 광범위한 항생제 관리활동(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을 하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전염병 감시팀과 약제 내성팀에서 특정 항생제 내성균 감시를 수행하고 있다. 또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부 이상희 교수팀에서 Class C betalactamase의 효소연구를 통하여 항생제의 내성에 대한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는 등 이 분야에서 많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보고서는 증가하는 다제(multidrug) 내성의 관점에서 조합요법, 새로운 전달시스템 그리고 새로이 등장하는 항균분자 등을 포함하여 최근의 항생제요법과 항생제 내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치료법뿐 아니라 항생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현황을 수록하고 있어 관련 산업계, 학계 및 연구실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Benjamin D. Brooks, Amanda E. Brook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78()
잡지명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4~27
분석자
엄*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