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를 위한 웨어러블 기술
- 전문가 제언
-
○ 최근 웨어러블기술, 웨어러블 컴퓨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용어가 산업, 시장,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 많은 영역에서 대거 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기기나 장치는 시계나 밴드, 안경, 소형배터리처럼 신체에 착용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이들은 전자기술과 마이크로 제조기술의 발전으로 소형화에 의한 기술혁신의 결과물이다.
○ 20세기 후반 이후 ICT기술은 급속히 발전해왔다. 소형화한 각종 휴대정보기기의 등장과 서비스(1980년대 전후, 제1세대), 브라우저, 네트워크게임, 음악배송 등 휴대정보망 서비스(20세기말, 제2세대)를 거쳐 현재 인터넷서비스와 휴대형 네트워크의 연결(제3대)시대를 거쳐 새로운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컴퓨터시대로 진입 중이다.
○ 이 자료는 생체정보센서와 취득정보를 통합하여 사용하기 쉬운 정보로 치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온 일본의 웨어러블환경정보네트추진기구(The Advanced Institute of Wear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s; WIN)의 연구현황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시대의 미래비전을 제시한 내용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웨어러블 기술의 유용성 개념을 제안하여 눈길을 끈다.
○ 2010년대 일반화되기 시작한 스마트폰에 이어 차세대 시장성장 모델로서 건강, 스포츠, 여가 등의 정보 센서네트워크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경쟁적으로 발표되고 새로운 시장선점을 위한 세계 ICT기업들의 사활을 건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ABI리서치사는 2018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4억 8,500만 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출하를 예측하고 있다.
○ 정부는 2014년 6월 미래성장 동력의 하나로 “착용형 스마트기기”를 선정한바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ICT메이커들 역시 시장우위를 점하기 위한 치열한 개발경쟁에 이미 진입해 있고, “2015 웨어러블 포럼”(서울)을 개최하는 등 국내 관련기관들의 관심도 뜨겁다. 향후 사용특성 개선, 배터리용량과 수명증가, 발열대책, 방수와 내구성 등 기술적 과제해결이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ITAO Kiy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81(1)
- 잡지명
- 精密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9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