펩티드 치료제: 현황과 미래 방향
- 전문가 제언
-
○ 의학과 생화학 및 생명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바이오 의약품의 비중이 커지면서 펩티드 의약품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고 그 종류도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펩티드 의약품은 시장규모도 크지만 부가가치도 높아 미국과 일본 등을 중심으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현재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성장인자, 이온채널 리간드 또는 항감염제 작용 등 인체생리학에 중요한 역할을 갖는 7,000여 이상의 천연 펩티드들이 확인되었으며, 펩티드 치료제는 고도로 선택적이고 효과적인 동시에 비교적 안전하고 내성이 양호하여 최근에는 다기능 및 세포 침투 펩티드뿐 아니라 펩티드 약물 복합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 이 총설에서는 펩티드 약물의 시장, 종래의 기술의 강점(S)과 약점(W), 기회(O)와 위협(T) 등 SWOT 분석과 합리적 펩티드 의약 설계, 혈장 반감기를 연장하기 위한 시도 및 새로이 부상하는 분야와 기술 등 펩티드 치료제의 현황, 강점과 약점, 펩티드 약물의 설계 및 개발에 관한 새로운 기회들을 고찰하고 있어 바이오 의약품 개발과 이들 약물의 전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좋은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국내의 경우도 1980년대에 본격 착수한 생명공학기술에 힘입어 펩티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생명공학에 관한 연구개발 능력은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는 상태이나 분리·정제, 신물질 탐색, 안정성 평가 및 제제 기술 등 전체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기술 축적은 미흡한 상태이다.
○ 이 총설의 결론과 같이 새로운 펩티드 기술은 비경구 주사 경로를 능가하는 투여, 항체 또는 작은 분자 펩티드와의 결합체, 특이 특성과 기능을 갖는 개선된 효능, 약물동력학적 특성 및 표적 약물전달이 가능한 다기능적인 분자 약물이 예상되고 ,LEGOTM브릭과 같이 펩티드와 아미노산의 조합에 의해 거의 무한할 정도로 미충족 의료 분야의 미래 치료제로 거대한 성장이 전망되어 금후, 생명공학, 고분자 화학, 제약 및 의학 분야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기반기술 확보가 절실히 요망된다.
- 저자
- Keld Fosgerau and Torsten Hoffman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20(1)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2~128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