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람의 장내 세균총에 의한 피토에스트로겐 대사의 다양성

전문가 제언

콩의 원산지가 한국의 영주라는 사실이 역사적으로 밝혀지면서 최근 영주에 콩 박물관의 건립을 기념하는 콩의 과거와 미래전망이라는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콩의 과거와 미래전망, 2015). 우리민족의 식생활은 콩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콩을 소재로 하여 된장, 청국장, 간장, 콩가루, 콩비지, 콩나물, 콩 유산균 발효음료 등의 다양한 식품을 즐기는 민족은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유일하다. 콩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들(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중국 등)에서도 우리의 콩 식품에 비교할 만큼의 식품은 없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콩의 피토에스트로겐은 천연에스트로겐의 일종으로 장내 균총에 의한 대사변환물질로서 생성되는 equol의 생성과 기능성을 추적하였으며 검출방법은 오줌을 이용하여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서양인들의 오줌에 equol을 분비하는 사람은 25% 정도이지만 아시아인의 경우는 5060%이다. 아시아인에게서 이것이 높은 것은 전통식품으로 콩 식품을 많이 섭취하였기 때문에 장내 균총이 equol을 생산하는 균 종류로 장의 생태계가 변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측된다.

 

한때는 합성에스트로겐 DES(diethylstilbestrol)가 위장장애, 현기증, 피부발진, 여드름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하였고 1947DES가 유산 방지역할을 한다는 연구논문을 기반으로 미국 FDA는 임신기간 동안 의무적으로 DES를 복용하게 했지만 나중에 DES를 복용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에게 희귀병 및 암의 발병률이 높아져 금지되었다. 이러한 경우, 인공합성품이 아니라 천연의 에스트로겐을 소재로 하여 식품으로 안티에이징 제품을 개발한다면 고령화 시대에 환영받을 것이다.

 

현재 장내에 생존하고 있는 100조 마리 세균의 다양한 인체건강 관련 연구는 수많은 과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번에 보고된 콩의 이소플라본은 천연의 에스트로겐 유사기능을 하는 물질로서 이것이 장내 균총의 대사과정에서 equol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성 물질로 변화되는 문제는 앞으로 더욱 관심 있는 연구과제이다.

저자
Tamura Moto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56(11)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3~42
분석자
강*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