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췌장암에서 세포노화의 역할

전문가 제언

췌장암은 약 95%가 췌관선암종(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이고, 우리나라의 경우 60~70세 사이에서 발생빈도가 높다. 2010년에 새로 발생한 환자수가 4637명이었고 암 발생순위는 9위였다. 영국에서는 매년 8000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이 병의 5년 생존율은 5%에 불과하다. 이 병은 매우 치명적이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이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

 

췌장암에서는 다양한 암유전자와 종양억제유전자들의 복합적 돌연변이가 관찰되며, 이들 유전자들은 세포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세포노화는 악성 전환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한편, 이들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는 세포노화의 회피를 일으키고 따라서 종양의 진행을 유발시킨다. 이와 같이 돌연변이는 이중적 효과를 나타내므로 췌장암의 발생기작은 매우 복잡하다.

 

세포노화는 세포주기 휴지의 결과로 생기고 세포에서 항-암 기작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노화는 말단소체 DNA의 손실로 일어난다. 이외에 KRAS, INK4a/CDKN2A p53의 돌연변이가 노화의 원인이고, DNA 메틸화와 히스톤 탈아세틸화와 같은 후성적 조절이 노화와 관련된다. 그리고 종양의 미세환경(기질)이 종양의 발달과 진행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노화회피는 종양이 노화 상태로부터 탈출하여 종양의 공격성과 진행을 계속 유지하게 한다. 췌장암에서 가장 흔한 KRAS 돌연변이는 세포가 노화를 우회케 하여 이 질병의 공격성에 기여한다. 노화회피의 다른 기구는 말단소체의 연장, p53 파괴, CDKN2A 침묵 등등이 알려졌다.

 

췌장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세포의 노화에 주목하여야 하고, 세포의 악성 전환을 방지하는 노화유발과정, 세포가 노화과정을 회피는 기구, 또는 종양에 영향을 미치는 미세환경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치료약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표적 경로나 효소를 찾아내야 할 것이다.

 

저자
John AG Moir, Steven A White, Jelena Man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57()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2~148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