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슐린을 뇌에 전달하는 기작

전문가 제언

실제로 뇌에 인슐린 수용체가 부족하거나 장애가 있으면 뇌에서 인슐린 저항이 발생해 인지장애 뿐만 아니라 뇌에 지방이 쌓이거나 전신에 지방이 축적되어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비만하거나 목덜미 뒤에 지방이 축적된 경우가 많다.

 

뇌에 인슐린을 잘 전달하고 작용케 해야 장애자들의 비만, 인지능력, 지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뇌에 인슐린을 전달하는 기작을 밝혀야 지적장애, 인지능력 감소, 치매 등을 치료하는 치료제들을 개발할 수 있다.

 

β-세포 에서 생성, 분비 된 인슐린 외에도 인슐린을 변형하여 장시간 작용하는 인슐린유사 체, 속효성 인슐린유사 체들이 개발 되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제약사(, 종근당)들도 인슐린유사 체를 개발하고 있다. 고려대 생명공학에서도 오래전에 코 속으로 인슐린을 분사하여 혈당조절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가 있었다. 지금까지 밝혀진 인슐린의 인지기능향상효과는 β-세포에서 분비된 인슐린의 효능이다. 인슐린유사 체들이 이런 효과를 갖고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고 또 이 유사 체들이 정상 인슐린의 전달과정을 통해 뇌에 전달되는 지 먼저 밝혀야 한다.

 

말초조직에서 생성, 분비된 렙틴, GLP-1, 그렐린 등의 펩타이드들도 인슐린처럼 뇌 간질 액에 전달되어 이들 펩타이드의 효과를 일으킨다. 이 펩타이드들이 전달되지 못하면 뇌에서 인슐린 저항처럼 펩타이드의 효과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2형 당뇨병 환자들이 집중혈당관리 하여도 인지기능이 향상(또는 회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뇌 위축이 오히려 가속적으로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뇌에서 인슐린이 작용하여 혈당조절 외에 뇌(특히 시상하부, 해마)기능을 높인다. 뇌에 있는 인슐린 수용 체에 작용 할 인슐린이 부족하면 인슐린 작용이 감소하여 치매 등 퇴행성 신경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인슐린의 뇌로 전달하는 과정과 기작을 규명하는 연구가 다양한 뇌 질병치료의 기초가 된다.

저자
Sarah M. Gra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Diabe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992~3997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