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전체 편집에 의한 식물 육종의 사회적 관점

전문가 제언

이 논문은 현재 새로운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기존의 유전공학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유전체 편집기술(genome editing)에 대해서 비교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의 불분명한 규제가 GMO와 마찬가지로 적용될 경우를 우려해 사회적인 수용과 이해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으며 가능한 해결책을 제안하고 있다.

 

이미 외국에서는 유전체 편집기술을 이용하여 주요작물에서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많은 GMO가 수입되어 가공식품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으나 직접적인 재배는 허가되지 않고 있으며 식품으로서의 안전성 및 환경 위해성을 평가하는 규제기준도 법령으로 마련되어있다. 그리고 유전체 편집기술에 대한 적용이나 기술적 검토는 일부에서 연구논문이 발표되고 있으나 작물에 대해 이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예는 아직 보고되지 않는 실정이다.

 

유전체 편집기술의 적용에서 예상하지 못한 돌연변이가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돌연변이의 발생이 유전체 편집기술을 농업에 이용하는 데 중대한 걸림돌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유전자 침묵(silencing)이나 기능의 상실 결과로 나타날 수 도 있다. 단백질 내의 아미노산의 변형에 의해 생산된 식품에서 면역성이나 독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돌연변이를 가진 작물이 재배될 때 상호교잡의 결과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많은 나라들이 1990년대 이래로 관행 유전공학에 대한 충분한 규제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정에 기초한 GMO 규제는 산물에 대한 규제로 점차적으로 전환되어야 할 시기라고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유전체 편집에 의한 작물도 최종산물에 대한 규제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식물유전체에서 예상치 못한 돌연변이를 동정하는 것이 어렵지만 육종학자들은 잠재적인 환경위해성 및 건강에 대한 위험성이 없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유전체 편집기술의 사용이 농업 및 환경에의 적용과정에서 일반대중 및 소비자들의 반대에 부딪칠 것이다.

저자
Motoko Araki and Tetsuya Ishi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0(3)
잡지명
Trends in Pla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5~149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