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에서 전자폐기물의 중금속 노출에 따른 인체건강 결과에 관한 고찰

전문가 제언

전자 및 정보, 통신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전자폐기물은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은 중국 남동부에 위치하는 전자폐기물 재활용 기지를 중심으로 중금속 노출에 따른 인체건강 및 위해성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전자폐기물의 재활용에 따른 중금속의 위해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납, 카드뮴, 크롬, 수은 등의 중금속은 중추 및 말초 신경계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납은 어린이들의 뇌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혈액, 신장, 생식계통에 손상을 준다. 또한 환경 속에 축적되어 동식물, 미생물에 만성 및 급성영향을 미친다. 크롬은 세포막을 쉽게 통과하여 체내에 흡수되며, 베릴륨, 바륨과 브롬화 난연제에 노출되면 암이 발생할 수 있다.

 

한 보고(UN 대학, 이데일리 신문, 2015.4.20)에 의하면 2014년에 전자폐기물 4천백만 톤이 버려졌으며, 이 중 600만 톤만 적절한 절차에 의해 재활용 되었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배출량이 710만 톤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 중국이 600만 톤으로 두 나라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이 전 세계의 32%를 차지한다. 이어 일본과 독일, 인도가 그 뒤를 이었다.

 

세계적으로 전자폐기물은 귀금속 등 재활용 가능한 소재가 들어있어 귀중한 ‘도시 광산’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전자기기 폐기물에 들어있는 위험한 중금속이 “유독 광산”을 만들 수 있다고 경고한다.

 

날로 늘어나는 전자폐기물의 재활용은 필수적이나 E-zero waste를 구현하기 위하여 설계단계부터 중금속을 덜 사용하는 한편, 폐기단계에 이르기까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수명주기가 다하여 폐기 시에도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하게 처리 할 수 있는 재활용 공정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저자
Qingbin Song, Jinhui L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96()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50~461
분석자
이*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