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산업공학과 세포 생체촉매작용에서 막 전달체 공학 활용
- 전문가 제언
-
○ 세포들이 가용성 생성물들을 많이 축적하면 심각한(매우 큰) 삼투압과 낮아진 물 활성이란 위험이 있다. 비타민 같은 효율적인 용질들을 생산함으로서 삼투압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반면 또 다른 전략은 흡수 전달 체를 통해 세포 안에 축적함도 있다. 호환적인 용질들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도 가용성, 기능성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 왜 세포들은 대사 물을 방출하는가? 토양세균인 Corynebacteria는 가뭄과 홍수를 많이 경험하고 이를 대처하는 방법으로 거대한 삼투압이나 팽 압으로 세균 내에 있는 삼투물질을 방출 또는 보전한다. 기계적으로 민감한 막이 작동시키는 삼투압 적 과정이 배출을 촉진한다. 세균에서 glutamate를 방출(배출)하는데도 이런 기계적으로 민감한 막이 작동시키는 삼투압 적 조절과정(팽 압이 조절하는 배출기)이 관여한다.
○ 가능한 흐름 형 종류수를 최소화하는 전략부분으로서 흐름을 대용할 수 있는 절대적인 전사 체 공학을 활용했다. 최대 성장 율의 85%수준으로 자라는 효모에서 전달 체와 비 전달 체의 유전자 발현을 밝혔다. 여기서 흐름을 촉진하는 전달 체 유전자들의 수는 아주 적음을 밝혔다. 따라서 이 소수의 전달 체 유전자 발현크기를 이용하여 흐름크기를 예측할 수 있고 흐름을 향상시킬 가능성을 제시한다.
○ 보령제약에서 항암제 독소루비신을 발효로 생산하고 있다. 생산능력을 높이지 못해 경쟁력이 없어 중국에 밀리고 있다. 전달 체를 유전공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능력과 순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이를 권하고 싶다.
- 저자
- Douglas B. Kell,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3(4)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37~246
- 분석자
- 윤*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