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재료와 가공기술

전문가 제언

전 산업에서는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자동차 업계에서도 연비를 향상시켜 차량에서 발생하는 CO2배출량을 감소시키려하고 있다.

 

자동차의 연비 향상으로 CO2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을 경량화 하여야 하나 경량화에는 자동차의 충돌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앞서고 있다. 안전성에 대한 규제는 점점 강화(1999 JNCAP, 2003 EURONCAP )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기형 자동차는 안전장비의 탑재, 운전성의 편리성, 동력성능 향상 등으로 차량 중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더욱 경량화 방안이 요구된다.

 

자동차의 경량화에는 크게 3가지 방안이 있다. 첫째는 기존 소재보다 가벼운 소재로 변경하는 방법, 둘째는 성형 및 가공기술을 개발하는 방법, 셋째는 기존 부품의 형태를 최적화 설계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소재를 변경하는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중량 절감 효과가 가장 크지만 재료비 상승으로 인해 원가측면에서 불리한 단점도 있다.

 

파워트레인 부품의 경량화는 차체중량 경감뿐만 아니라 성능 향상에 공헌이 크며 종합적인 효과가 크다. 따라서 주 운동계 부품의 경량화가 우선적으로 요망되는 부품들이다.

 

국내 자동차 업체들이 경량화를 적극 추진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소재개량 로드맵을 수립하여 다양한 소재 활용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비철금속, 화학업체 등 소재제조업체와 협력하여 안전한 공급처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특화된 소재 및 가공기술을 육성할 필요가 있고 생각한다.

 

저자
Fujikawa Shinichiro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2(9)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4~30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