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캐스팅 금형 내 용탕 거동의 가시화
- 전문가 제언
-
○ 다이캐스팅에서 요구되고 있는 고품질의 주조를 위해, 비교적 간단한 개선 방안으로 용탕의 가시적 방법을 실험적으로 시도 하여 긍정적인 결과가 관찰 되었다.
○ 다이캐스팅법은 주조로 형상을 만들기 때문에 제품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다. 외부 검사 방법으로는 육안 평가, 샘플링 검사 등을 활용하여 검사가 가능하지만, 내부 결함에 대해서는 X선 검사 장비를 적용하여 3차원적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CT-Image와 CAD File을 비교하여 검사를 하고 있다.
○ 내부 결함은 검출 크기의 한계 및 계산 등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어 산업용 검사방법으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 최근 다이캐스팅 주조업계에서는 내부 결함을 줄이기 위해 고진공 다이캐스팅 기술이 대두 되고 있으며 특히 유럽에서는 가스 혼입량이 적고 양질의 제품을 얻는 방법으로 개재물 혼입을 억제하는 용탕처리 기술을 발전시켜 T6열처리와 용접이 가능한 제품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 한편으로는 종래의 방식에서 가스의 혼입을 규명하여 내부가 건전한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도 병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등록번호 10-0682028(2007년9월7일)로 용탕충전 가시화 장치를 등록하고 있다.
○ 이 특허는 다이캐스팅 장치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장치를 투명하게 제작하고 여기에 액체를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서 액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주조결함의 발생위치 예측, 발생원인 분석 및 용탕의 사출조건 최적화를 이룰 수 있는 용탕 가사화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 이와 같은 가시화 방법은 제품을 개별 시뮬레이션 하기는 어려워도 여러 종류로 분류하여 통계적으로 활용하면 다이캐스팅 제품생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Iwata Yasus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30(3)
- 잡지명
- 型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8~32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