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박육Mg합금 다이캐스팅 현상에서 Mg합금용 핫챔버 다이캐스팅머신 제안

전문가 제언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2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가정, 공장 및 수송기관 등에서 배출된다. 수송기관 중에서도 자동차를 대표로 경량화해서 연비를 향상시키고 CO2배출량을 줄이는 대안으로 자동차의 부품을 Mg합금으로 대체하기 위한 Mg합금 다이캐스팅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고는 자동차부품, PC 케이스 등을 경량화하기 위한 초박육Mg합금 다이캐스팅 현상에서 Mg합금용 핫챔버다이캐스팅 머신에 대한 새로운 기술이 발표되어 다이캐스팅 공업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Z91D, AM60 구조용 부품재료가 많이 사용되는데 온도가 그리 높지 않은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Intake Manifold, 노트형 PC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케이스로 사용하고 ACM522 합금은 내열성 합금임으로 오일 팬 등의 부품에 사용한다.

 

부품 주조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선 핫챔버식 다이캐스팅과 콜드챔버식 다이캐스팅의 장, 단점을 간략 한다. 핫챔버식은 성형속도가 콜드챔버식에 비해 20~30% 빠름으로 생산성이 우수하다. 용탕온도가 잘 안 식어서 주조압력이 낮은데 비해 콜드챔버식은 용탕 온도 냉각이 심해서 주조압력이 높다. 핫챔버식은 콜드에 비해 박육제품을 주조하고 형상이 복잡한 것도 가능하다.

 

AZ91D 등의 합금은 용해 시에 산화에 의해 발화하기 쉬우므로 합금 용해 시에 680℃의 용탕 유지를 위하여 방연 가스로 산화를 방지한다. 사용하는 방연 가스는 SF6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이 가스는 지구온난화계수(GWP)가 22200으로 매우 높아서 GWP가 1300인 HFC-134a, <10 인 OHFC-1234ze 등의 대체 가스나 Ar 등의 불화성 가스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도 대원다이캐스트공업(주) 등에서 AM60 등의 자동차 부품, 경기 대일금속, KH바텍 등 다이캐스팅 공장에서 스마트폰 케이스 등의 소형 제품을 다이캐스팅 하고 있으나 새로운 다이캐스팅 기술 개발을 위하여 산, 학, 연이 유대 하여


저자
H.Satou, W.Okaba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56(3)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22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