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도성 고분자재료의 개발동향과 응용

전문가 제언

전도성고분자재료의 발전과 더불어 응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전도성고분자의 응용은 용도에 따라 크게 3기로 구분하고 있는데 전도성 고분자가 갖고 있는 금속과 같은 높은 전기전도도 특성을 이용해 대전방지, 투명전도성 막, 고체 전해질 콘덴서 등의 실용화단계를 1기로 본다. 반도체성 전하 운반특성을 이용하는 2기에는 고분자 트랜지스터, 고분자 EL, 박막 태양전지 응용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는 연구개발 후기 단계에 와 있다.

 

1기와 2기의 연구와 개발성과를 기초로 전도성고분자의 개발은 새로운 3기에 들어서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 전도성 고분자에 비해 기능이 향상된 고분자 재료가 많이 개발되어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고분자 액추에이터, 이차전지, 센서나 그 외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는 새로운 용도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유연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있는 전도성고분자재료의 특징을 살려 의학 분야에 대한 응용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새롭게 비약하는 단계로 약진하는 전도성고분자재료의 기술개발과 응용에 대해서, 전도성 PEDOT:PSS, 고전도성 PEDOT, 고이동도 전도성 고분자, 고효율박막태양전지, 고성능 저온열전변환 고분자 재료,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고기능성 복합소재, wearable 소재 응용 등의 최근 발전 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전방지제를 비롯하여 유기태양전지의 핵심소자 및 기술, 저온 열전변환 재료 동향 등이 학술논문이나 특허에 많이 기재되는 것으로 보아 관련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에는 전도성고분자를 취급하는 메이커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사물인터넷(IoT)의 발전과 더불어 미래창조과학부의 융합기술의 큰 테마로 포함되어있어 그 발전을 기대해 본다.


저자
Kobayashi Yuki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4)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22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