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베트남 A Luoi 지역에서 물리적 모델을 이용한 사면 안정성 분석

전문가 제언

이 논문은 중부 베트남 Thua Thien-Hue 주의 서부 산악지역에 위치한 A Luoi 지역에서 사면 안정성 도면화를 위한 사례 연구로 실시하였다. 이 지역은 사면 파괴가 자주 일어났고, 이로 인해 지역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연구방법은 무한 사면 안정성 모델(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에 근거하였으며, 전단강도와 전단응력 간의 비율인 안전율이 계산되었다. 분석에 고려된 사면 불안정 촉발 메커니즘은 연구지역에서 28(19762003)간 기록된 최대 일일 강수량이었으며, 여기에서는 수문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된 유출률과 침투율이 고려되었다. 많은 다른 물리적 파라미터가 디지털 지형도, 토양 구조도 및 토지 이용도로부터 유도되어, 3030m 픽셀크기의 GIS-래스터 그리드 도면이 제작되었다.

 

분석 결과는 2001년에 제작된 사면 파괴도면과 대비되었으며, 관찰된 사면 파괴의 86.9% 이상이 물리적 기반을 둔 사면 안정성 모델에 의해 예측된 것과 잘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연구지역 상당부분은 산사태 가능성이 큰 것으로 결론지었다. 분석 결과 얻어진 사면 안정성 도면은 차후의 연구와 토지 이용 계획에 유용하나, 미래의 사면 파괴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요인의 공간적 변이 및 분석 기술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강원도에서 산사태 경보시스템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현장에 기기들을 설치하고 강우 대비 사면의 변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 연구가 진행되면 지역별 산사태 취약성 지도가 제작되고, 전국적인 경보구역이 설정되어, 강수량과 관계하여 지역별 경보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얻어진 사면 안정성 도면 작성 기법은 우리에게도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미래의 사면 파괴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위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저자
Long Nguyen Thanh,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1()
잡지명
Landslid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97~907
분석자
박*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