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전통한의학에서 식용식물은 당뇨병성 신장병 관리를 위한 유망한 대안이다

전문가 제언

이 리뷰는 중국 전통한의학에서 식용식물의 활성 성분과 식이요법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식용식물에 대한 최근 연구를 요약하고 있다. 당뇨병성 신장병의 치료를 위한 보완적인 접근으로 식용식물의 유래와 식이요법의 적용에 대한 과학적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항 당뇨병성 신장병의 생물 활성 성분을 분류했다. 또 기초가 되는 메커니즘과 식용식물의 유익한 효과를 요약하고 있다.

 

미국 당뇨병 학회(ADA)에는 2012년부터 당화혈색소의 목표치를 일반적으로 7% 미만으로 하되, 환자의 치료에 대한 의지와 노력 정도가 높고, 저혈당의 위험성이 낮으며, 당뇨병의 유병 기간이 짧고, 기대수명이 길며, 동반질환 및 혈관합병증이 없는 경우 6.0~6.5%로 좀 더 엄격하게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반대의 경우에는 7.5~8%까지 목표를 잡아 환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치료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국내연구는 201411월 김 등은 미국에서 발간된 SCI‘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ffect of Yeonryeonggobon-dan (YRGBD), an herbal complex, on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case series’ 으로 2형 당뇨를 전통한약으로 당화혈색소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2004년 문 등은 당뇨합병증으로 인한 만성 신부전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연구가 있다.

 

당뇨병은 췌장 인슐린 분비장애와 인슐린 작용의 결함으로 인하여 혈당의 지속적인 상승이 일어나는 심각한 대사질환으로 원인과 치료가 아직 불명확한 고질병이다. 혈당을 제어하고 미량 알부민 요를 개선하여 신부전을 개선하는 것에 집중하는 기존 의약품보다 중국 전통한의학은 환자의 내부 전체 시스템을 강조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신장을 복구하기 위해 기능성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것은 하나의 유용한 대안임이 분명하다. 향후 체계적인 성분분석과 아울려 안전성 연구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Jing-Yi Liu,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14()
잡지명
Journal of Functional Foo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2~22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