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부, 벤처캐피털(VC)과 유럽 첨단기술 창업기업의 성장

전문가 제언

최근에 첨단기술에 기반하거나 기술집약적인 창업기업과 이러한 기술벤처창업기업에 투자되는 벤처금융자본인 벤처캐피털(Venture Capital : VC)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은 “정부, 벤처캐피털(VC)과 유럽첨단기술창업기업의 성장”을 주제로 하여 VC의 두 가지 유형인 정부VC펀드(GVC)와 독립기업관리VC펀드(IVC)가 유럽첨단기술창업기업의 판매 및 고용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GVC와 IVC투자자의 기업성장제고역할을 평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강건하고 경제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긍정적인 영향이 IVC투자자에 의해 기업의 판매성장에 미쳐졌으나 GVC만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GVC 및 IVC투자자에 의한 VC회사조합투자가 IVC투자자에 의해 주도될 때에만 기업의 판매성장에 대한 긍정적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은 VC시장에서 직접적, 적극적 투자를 통해 첨단기술창업기업을 지원하는 정부의 능력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첨단기술산업에서 창업기업은 유럽경제의 활성화, 일자리창출, 타경쟁자와의 혁신격차축소, 지식기반사회의 개발과 지속가능경제성장의 추진을 위한 주요수단으로 인식되고, VC는 이러한 첨단기술창업기업에 최적의 금융방식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에 있어서 범유럽VC시장의 창출은 혁신, 일자리창출과 경제성장에서 유럽국가들의 성과를 증대시키는 선행조건이 되고 있어 정부와 민간VC펀드지원을 통한 VC시장활성화의 필요성이 정책차원에서 강조된다.

 

그간 우리나라는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주도로 기술벤처창업기업이 성장하고 신성장동력확충의 핵심적 원천으로서 국가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달해 왔으며, 이를 위한 벤처자본의 역할이 컸다. 2014년도에는 기술벤처창업기업수가 28,543개, VC자금은 13조 3,368억원이었다. 향후 창업활성화와 벤처기업의 육성을 위한 정책조치, 창업기업중점투자를 정부의 직접개입과 정부주도VC지원에서 벗어나 민간주도의 투자로 전환되어야 한다.

저자
Luca Grill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4
권(호)
43()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523~1543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