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에 대한 연구방향
- 전문가 제언
-
○ 지난 수년간 이슈화 되어온 스마트 기기, 폰, 카, 홈, 시티의 목표 달성을 위해 대표적 기술로,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컴퓨팅(Mobile Computing), 퍼베이시브 컴퓨팅((Pervasive Computing), 무선센서 네트워크(WSN: Wireless Sensor Networks), 사물지능통신(M2M: Machine to Machine) 그리고 가장 최근의 사이버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s) 등의 관련 기술들이 분화 발전되어 왔다.
○ 최근 해당 기술 및 솔루션의 진화과정에서 IoT 관련분야의 연구 원리와 문제에 대해 중복과 융합현상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들 분야에서 협의적 정의는 더 이상 적절치 않으며, 실시간 컴퓨팅, 기계학습, 보안, 프라이버시, 신호처리, 빅데이터 등의 보다 근원적 주제가 부각되고 있다.
○ 미래의 비전은 사물인터넷이 향후 발생될 수 있는 대규모 장치, 실제와 가상세계와의 연결, 시스템 개방과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감지, 작동, 통신, 제어, 그리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지식을 만듦으로써 질적으로 다른 생활양식으로 귀착될 것이다.
○ 특히 IoT 응용프로그램이 확산됨에 따라 많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은 밀접하게 인간을 포함할 것이고 인간과 사물은 상승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새로운 도전 과제는 시스템 자체의 한 부분으로, 인간 행동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과제가 될 것이다.
○ 사물인터넷 분야는 아직 주도하는 국가가 없을 만큼 시작 단계이고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인터넷 인프라와 스마트폰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신산업 육성 전략에 포함하고 있는 관심분야이다. 이 논문은 다가올 스마트한 세상을 위하여 해결되어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저자
- John A. Stankovic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1(1)
- 잡지명
-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9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