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흑색박막 유기피복 강판의 피막특성에 미치는 흑색 아조계 금속착염 염료의 영향

전문가 제언

전기 아연도금이나 니켈도금은 최근 태양전지 집열판이나 자동차부품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과거에는 자동차 엠블렘이나 범퍼, 와이퍼 등의 장식, 방청 목적으로 도금하였지만, 반사를 방지하고 경제적으로 금속 고유의 내열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이나 수지에 비하여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다. 이에 자동차와 음향, 항공기, 통신기, 컴퓨터부품, 고속열차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2014년 일본 K. Saito와 K. Kanda는 음극전해 처리법에 의한 흑색니켈 도금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후 수지-금속접착·접합부의 응력을 해석하고 밀착성과 내구성 평가 및 접착강도와 수명의 영향과 계면상태를 제어하였다. 2014년 중국에서는 2-옥틸 사이아노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강판도 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남동공단의 삼진금속에서는 흑색너트를 개발하였다. 이 흑색 크로메이트 기술은 아연도금 후, 흑색 크로메이트 처리한 후, 불소수지 클리어 코팅한 기술이다. 하지만 내열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허브너트나 휠 부품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전기도금이나 무전해 도금에 의한 흑색 도금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 도금현장에 흑색도금을 위한 기술정보지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자동차, 스마트폰 고객수요의 다양화로 인해 아연도금은 황색계, 백색계, 흑색계, 무지개색와 다채로운 금속 색조를 가진 합금 도금이 실용화되고 있다. 드럼이나 악기 등 음향 부품에는 흑색도금이 필수적이다. 향후 클리어 코팅이나 크롬도금 대용의 흑색니켈, 흑색아연도금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내식성 착색도금에 관한 합금도금 정보나 크로메이트 대체 내식설 착색 표면처리 기술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Naoto YOSHIM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6(2)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5~69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