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입자상물질(PM)에의 노출과 폐암

전문가 제언

세계질병부담연구에 따르면 공기오염에 기인한 사망자는 매년 늘어나2010년에는 3백만 명이 넘었다고 하며, 미세먼지(PM)로 인하여 발생하는 호흡기와 폐의 암으로 사망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다고 한다.

 

본 원고는 미세먼지와 폐암사이의 연관성에 관하여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고 정량적으로 요약하고 있다. PM2.5의 메타-분석의 결과는 공기오염과 연관된 폐암의 부담을 정량화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국제암연구기관(IARC)의 워킹그룹은 실외 공기오염물질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그룹1"의 발암물질이라는 결론을 내렸으며, 이는 본 원고의 분석결과와 일치한다. IARC의 결정은 폐암위험과 PM2.5PM10의 연관성에 관한 증거에 근거를 두고 있다.

 

과거에 흡연하였던 사람들의 흡연형태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PM과 폐암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제한적이지만, 현재 담배를 피우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분명하지는 않지만 PM2.5로 인한 폐암의 위험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우리나라도 흡연으로 인한 공기오염과 건강위협, 특히 청소년의 흡연율의 증가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비용의 절약을 위하여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어 바이오매스연소에서 발생하는 연기에 주민들이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도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가 늘어나고 있다. 자동차가 배출하는 오염물질은 PM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기오염물질들에 장기간에 노출되면 건강에 위협이 된다. 실외의 PM노출에 의한 건강위협에 대한 대비와 더불어 중국에서 매년 날아오는 미세먼지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자
Ghassan B. Hamr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22(9)
잡지명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06~911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