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물섬유생산과 염색공장에 있어서 통합적 오염방지 및 통제에 대한 평가
- 전문가 제언
-
○ 섬유산업은 주요 견인사업으로 터키의 섬유부문은 섬유생산에서 세계 5위이고,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유제품공급자이다. “직물섬유생산과 염색공장에 있?서 통합오염방지 및 통제의 평가”를 주제로 하는 본 논문에서는 터키의 섬유공장에 대한 청정생산평가연구가 통합환경관리제도인 통합오염방지 및 통제(IPPC: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를 토대로 하여 분석되고, 그 결과가 최적가용기술(BAT: Best Available Techniques)지침서에 의거 평가된다.
○ 분석결과에서는 공정폐수의 재이용이 가능하고, 폐수재이용, 화학물질대체, 장비보정개선, 증기응축물의 재이용과 우수관리실천 등을 포함하여 오염물질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최상의 환경기술에 대해 제안된 BAT의 적용으로 총 물 소비량이 35-65%, 이외에 자동화학물질 주입시스템에 의거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약 25-50%, 화학물질 및 염료소비는 31%, 총 에너지소비는 70%, 가스배출은 25-65%, 폐기물발생은 우수관리실천과 섬유폐기물의 재이용에 의거 5-10% 감축될 수 있다.
○ 섬유산업은 다량의 물, 에너지와 화학물질을 소비하기 때문에 폐수, 폐기물, 기타 환경유해물질을 발생시켜, 인체와 환경안전이 위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회원국 등 선진국에서는 예방적인 환경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환경오염방지와 개선 그리고 그 기술개발촉진을 위해 IPPC를 도입, 운영하며, IPPC는 섬유생산공정에서 자연자원의 효율적 이용, 오염부하의 통제, 최소화를 위한 BAT의 활용을 강조한다.
○ BAT는 생산공정에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 기술적으로 효율성이 확보된 우수상용기술로 섬유를 생산, 염색하는 터키의 섬유산업에 대해 IPPC BAT참고자료(BAT Reference Document)와 터키 BREF가 처음으로 이행되는 것이다. 한국의 환경관리는 오염매체별로 분산되어 환경개선효과에 있어 제한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다. 향후 환경개선과 산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섬유산업에 BAT기술기반의 통합환경관리를 도입해 섬유기업현장에서 BAT의 적용에 의거 자원과 에너지소비를 절감시켜야 할 것이다.
- 저자
- Emrah Ozturk,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88()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6~124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