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루마이트의 기능화를 지탱하는 기반기술

전문가 제언

양극산화의 다공질 구조나 크기는 직류와 교류 전압과 전류, 전해액 등 조건변화로 전기화학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요구되는 다양한 컬러나 홀 직경, 피막두께까지 제어가 가능하다. 알루미늄 이외의 티타늄 부동태 금속으로 양극산화 응용기구의 연구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알루마이트 구조제어 기술, 박리기술이 진전함에 따라 홀 직경 균일성을 이용한 알루마이트가 연료전지 필터로의 활용도 검토되고 있다. 2011년 Whatman사는 필터용 ANOPORETM멤브레인을 개발하였고 Kazunari Mizuki는 알루마이트 멤브레인을 개발한 역사를 해설하였다. 또 (100)면의 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 전해연마 후의 소지표면에서는 셀 형상의 등방성 요철구조를 확인하였다.

 

2015년 일본 Kanagawa 대학의 Daichi FUJI와 Xueqin은 공동으로 이온액체로부터 증착된 알루미늄 전기도금 피막의 양극산화에 의한 다공질 알루미나의 형성에 관하여 보고하였다. 이 기술은 나노 멤브레인이나 광디스크, 수직자기기록 매체에의 응용을 위한 연구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직형의 주상(column)실리콘 박막 홀의 직경과 깊이를 전해조건에 의하여 제어하고 있다.

 

2005년 반월공단의 광성전자 주식회사는 고전압 저온양극산화 기술을 개발하여 고경도 내마모성의 이동용 휴대폰 케이스에 적용하였다. 양극산화 피막의 나노 다공질구조는 태양전지 양극의 광촉매 활성도를 높일 수 있다. 싱가포르 Nanyang기술대학교는 광 양극(Photo Anode) 형태의 구조를 갖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s: Dye-Sensitized Solar Cells)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90% 향상시킨 것으로 보고하였다.

 

2008년 한국세라믹기술원과 광주과학기술원은 공동으로 양극산화 기술을 이용한 금속산화물 나노구조 제조 및 응용동향을 보고하였다. 국내에서는 Al양극산화 기술이 축적되어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전해착색이나 봉공밀봉기술(sealing technology)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양국산화에 관한 기술정보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
Hidetaka ASOH,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5(9)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06~413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