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석탄 화력발전소용 CO2 회수장치

전문가 제언

근래의 홍수, 폭염과 같은 기후변동은 가속화된 산업화에 따른 대기 속 온실가스의 배출 증가와 이로 인한 지구온도 상승에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엔 정부 간 기후변화협의회(IPCC)는 별도 조치가 없이는 금세기 말 지구온도는 산업혁명 이전보다 35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온도 상승을 2이내로 묶는 유엔 목표를 제시했다.

 

이 목표의 달성에는 온실가스의 약 77%를 차지하는 CO2 배출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각국은 주요 CO2 배출원인 석탄 화력발전소 배기가스 중의 CO2 회수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 Mitsubishi 중공업은 미국 전력회사(Southern Company)와 공동으로 Alabama주에 석탄연소 배기가스로부터의 CO2 회수실증설비(500t/일 규모)를 건설하고 20116월 가동을 시작했다.

 

이 회사는 1999년 천연가스/중유 연소 배기가스에 대한 CO2 회수 상용설비를 도입하여 현재 11기가 가동 중에 있으며, CO2 회수 흡수제로는 아민(amine)을 사용한다. 또한 흡수탑으로부터 배출되어 손실이 발생되는 아민배출 현상을 줄이는 아민배출 저감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는 1990년대 중반부터 에너지기술연구원, 전력연구원 등이 중심으로 습식/건식의 CO2 흡수제/공정 개발을 시작했고, 이를 기반으로 20135, 10MW 습식 파일럿 설비(200t/, 중부발전, 보령화력 8호기)가 건설되어 실증운전 중에 있다. 한편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에 힘입어 건식에서는 20144, 10MW 건식 파일럿 설비(200t/, 하동화력 8호기)가 세계에 앞서 건설되었다.

 

국내의 CO2 포집 분야는 건식 분야에서 일부 앞선 부분도 있긴 하지만 흡수제/공정 기술과 실증/상용설비 측면에서 대부분 취약한 수준이다. 특히 단기 적용이 가능한 습식에서는 더욱 격차가 크다고 할 수 있다. CCS(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or Storage) 분야의 잠재 시장의 선점과 국가 CO2 배출목표 달성을 위해 CO2 포집기술의 개발 촉진과 설비 건설 확대가 요구된다.

저자
Takashi Kamij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52(1)
잡지명
三菱重工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4~29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