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산업에 있어서 에너지및 물효율성과 오염감축에 대한 유망기술의 기술리뷰
- 전문가 제언
-
○ 섬유산업은 다량의 전력, 연료와 물을 소비함에 따라 온실가스배출, 오염물질과 폐수를 발생시켜 심각한 환경문제의 주요 원천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섬유산업에 있어서 에너지 및 물효율과 오염감축을 위한 유망기술에 대한 기술리뷰”의 주제하에 섬유산업공정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고, 환경관련 18개 유망기술에 대한 이용가능한 정보를 통합하여 그 에너지 및 물효율과 오염감축기술 등을 조사한다.
○ 본 연구에서 검토된 18개 유망기술의 대부분은 전통적인 기술과 비교하여 실질적인 에너지 시간절약, 재료절약과 폐수오염감축을 야기하지만 대부분의 이러한 기술들은 아직 상용화되지 않고 있거나 도입의 초기단계에 있음이 제시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는 단일기술은 최상의 또는 유일한 해결책이 될 가능성이 없어 섬유산업의 증가하는 에너지 및 물이용과 오염물질배출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유망기술들의 융합이 개발되고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섬유산업에서 유망기술의 개발은 에너지 및 물 이용의 감축과 그 효율의 향상, 대기오염 및 오염물질배출의 감축, 인체건강의 향상 등 여러 공동혜택을 야기할 수 있다. 에너지 및 물이용 효율향상과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배출완화 유망기술은 앞으로 급속한 섬유소비 증가, 산업의 에너지 및 물이용과 온실가스 및 다른 오염물질배출을 증가시킬 인구와 경제성장에 부응하기 때문에 섬유산업에 필수적이다.
○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청정생산기술을 위해 다각도의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며, 특히 향후 파급효과를 낼 유망기술을 발굴, 육성하는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유망기술은 장래에 실용화가 기대되는 환경기술, BT 등의 첨단기술로서 미래를 주도할 기술로 부각되고, 우리나라 창조경제의 엔진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환경기술은 신성장동력으로서 그간 강력한 정책추진에 의해 상당히 향상되었으나 환경관련 유망기술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R&D투자의 확대와 함께 제도/정책적 지원과 그 기반 확충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 저자
- Ali Hasanbeig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95()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0~44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