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산업에서의 기술개발과 경쟁 우위성 획득 분석
- 전문가 제언
-
○ 산업이 성숙기에 도달하면 제품 기술과 제조 방법에서 혁신성이 점차 감소한다. 그 예로서 미국에서 개발된 제품이 성숙기에 들어섰을 때 후발기업에서 어떻게 경쟁적 우위성을 구축할 수 있었는지 또 그러기 위해 어떠한 새로운 혁신이 있었는지 본고에서는 지퍼를 생산하는 YKK사의 사업 분석을 통하여 산업발전 및 혁신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 한 제품에서 혁신을 이루는 것은 제품이 먼저 개발되어 시판되는 선진국과 신흥국에서의 시장 수요의 격차가 신흥국 측에서 새로운 혁신을 유발하여 역혁신을 일으킬 수도 있다. 특히, 역혁신의 시기는 제조 방법에서 새로운 혁신이 도입되는 시기와 상관관계가 있다.
○ 제조업 부문의 국제화에서 시장이 성숙되고 표면적으로는 기술의 차별화가 없는 경우에도 일본의 YKK사 처럼 후발국의 미숙한 시장에서도 고객의 요구에 의한 새로운 혁신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이 내재될 수 있다. YKK사와 같이 시장의 요구를 받아들여 적절히 대응해 나감으로써 후발국에서도 새로운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 미국과 일본 봉제 산업의 예에서, 일본 봉제 산업의 발달이 늦은 이유 중 하나는 봉제가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고 사회적 분업체제로 발전하지 않았다는 점인데 기술적인 면에서 시장 변화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면 선진기업이라 해도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교훈을 주는 사례이다.
○ 오늘날도 이와 유사한 사례들이 많이 있다. 비디오테이프 부문에서 일본 SONY사에서 베타막스(β-Max)를 처음 개발하여 시장을 점유했으나 마케팅에 실패함으로써 후발기업 JVC가 VHS로 시장을 석권한 사례가 있고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도 프랑스에서 개발되어 등대, 탐조등, 랜턴 등에 사용되던 평면 렌즈였으나 일본에서 카메라 렌즈에 실용성을 입증하여 줌렌즈에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과 IT 산업 역시 후발기업 한국에서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현실도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Toru Takekura, Makoto Hirano, Hideho Tana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69(3)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33~138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