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고장 유지기술
- 전문가 제언
-
○ 현재까지의 무고장 유지 연구는 안전성이 주요 이슈가 되는 항공기, 잠수함 및 우주선 시스템에 관련된 연구가 주종을 이루어 왔지만 무고장 유지로 인한 혜택과 무고장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고려하여 전체 수명주기 관점에서 이익이 된다면 다른 시스템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증대될 전망이다.
○ 무고장 유지와 관련하여 여러 종류의 시스템에서 결함조짐을 사전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전될 것이다. 대형으로 복잡한 시스템일수록 결함색출에 관련된 속성들이 다양하고 측정방법도 매우 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결함에 대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결함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많은 현장경험 지식을 축적하게 되면 무고장 유지의 실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것이다.
○ 간헐결함에 대한 사전감지방법들이 여러 가지 사례로 제시되었지만 간헐결함들은 운용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일한 징후라 하더라도 여러 가지 다른 환경에서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에 관련된 간헐결함 사전진단을 위해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며 조건기반유지(CBM)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고장유형 및 영향분석(FMEA)을 토대로 한 현장경험 지식 축적 노력을 증대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Samir Kh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123()
- 잡지명
-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96~208
- 분석자
- 이*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