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ELECTRE-II 기법을 활용한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부지 선정

전문가 제언

중국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재생에너지 개발을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2013년 말 기준으로 중국의 태양광발전용량은 19.9GW(세계 5)이며 한 해 동안 11.8GW나 증가시켰다. 풍력발전의 경우는 더욱 증가하여 91GW로서 세계 1위를 지속하고 있으며 한 해 동안 16GW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은 기후와 밤낮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안정적인 전원에너지로는 한계가 있다. 특히 태양광발전은 밤 동안의 발전이 불가능하고 풍력발전은 밤 시간대의 발전량이 낮 시간대보다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불균형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력 저장기술을 개발하면 해결할 수 있으나 배터리를 사용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수소 등의 새로운 에너지매체는 미래기술로 남아 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낮 시간대의 태양광발전과 밤 시간대의 풍력발전이 서로 보완하도록 하는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이다.

 

그러나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은 각각의 에너지자원이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때에만 가치가 있으므로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에너지자원을 정확히 예측하여 적합한 부지 선정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자료는 그러한 부지 선정방법들 중에서 정책결정자들이 어렵지 않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부지 선정방법과 평가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태양광발전용량은 2013년 말 현재 450MW, 풍력발전용량은 2014년 말 현재 609MW이다. 2014년 말 현재 세계의 태양광발전용량과 풍력발전용량이 각각 187GW318GW인 것에 비하면 그 비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발전은 연구수준으로만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각각에 대한 부지 선정평가도 이들 시스템의 가동률과 경제성에 핵심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새로운 부지 선정방법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저자
Dong Jun, Feng Tian-tian, Yang Yi-sheng, Ma Y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35()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94~204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