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액정 디스플레이 개발의 역사

전문가 제언

1970년대 초기 액정응용 기술개발 전에도 실제로는 액정에 대해서 많이 시험되고 있었다. 이들 연구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시모드 일종인 트위스트 ? 네마틱(TN: Twisted ? Nematic) 모드에서 관찰된다. 그 후 슈퍼트위스트 ? 네마틱(STN: Super Twisted ? Nematic)이나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는 화소 스위칭 소자로서 액티브매트릭스형의 LCD로 기술혁신이 계속되고 있다. 액정의 구동방식과 액정재료의 2개 발전이 현재 대형 LCD에 이르렀고, LCD가 디바이스 시장을 석권했다.

 

현재, 액정디스플레이에서는 대형화, 고정밀도화, 3D표시와 다원색화 등, 디스플레이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제품으로서 경쟁력을 갖추고자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화소를 구동하는 TFT의 고속화를 필요로 하지만, 수소화비정질실리콘(α-Si-H: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에 대응하는 고이동도 TFT재료의 개발이 지체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표시의 구동방식을 연구하는 것으로 대응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마그네틱 액정을 이용한 평판 패널형 디스플레이가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LCD의 현행 표시방법의 기술적인 한계가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방법의 개발이 왕성하게 수행되고 있다. 유기EL(OLED)은 차세대 표시방식의 실제라고 기대되고 있지만, LCD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평판디스플레이는 컴퓨터, 통신단말기, TV 등에, 장착되는 핵심전자부품으로서,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분야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전자와 LG필립스가 액정표시장치(LCD)에 있어서 세계의 선두그룹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국가적인 규모에서는 여전히 일본 업체가 1위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세계 제1위의 TFT LCD 산업국이 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투자와 산학연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Naoyuki KOID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52(6)
잡지명
光技術コンタク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17
분석자
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