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단백질 접착제 재료 및 이를 사용한 접착제 제조방법
- 전문가 제언
-
○ 건조조건에서 강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접착제는 여러 가지 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그 중의 대부분은 일단 건조 조건에서 접착하면 습윤 환경에 놓아두어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습윤 조건이나 수중에서 접착을 개시한 경우, 유효한 강도에 달할 수 있는 접착제는 존재하지 않았다.
○ 홍합류는 자신을 양호한 환경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단백질을 합성하여 자신을 기물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 접착단백질은 보라색 홍합에 있어서는 주로 수십 개의 Ala-Lys-Pro-Ser-Tyr-Pro-Pro-Thr-Tyr-Lys라고 하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배열의 반복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며, 해수 중에서 경화하여 충분한 접착강도를 나타낸다.
○ 이와 같은 10개의 아미노산 배열의 반복을 코드하는 DNA를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수중에서 접착 가능한 접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이미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일부가 밝혀지고 있는 천연 보라색 홍합의 접착단백질의 배열을 미생물에 도입하여 접착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도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접착강도는 보다 강한 것이 요망되고, 보다 강한 접착강도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재료도 요구되고 있다.
○ 이 발명은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란(TPFPB)을 촉매로 사용하여 알코올과 유게놀을 히드로실레이션 시킨 다음, TPFPB를 제거하여 실릴기로 보호된 카테콜 성분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 홍합단백질을 합성하여 접착제로 사용하는 기술은 국내의 경우, 포항공대 산학협력단 등이 국내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포스텍, 이노테라피, 해양과학기술진흥원 등이 인공 모발접착제, 지혈접착제, 기능성 골 이식재 접착제를 개발하여 사업화를 서두르고 있다. 이 분야의 기술에 대한 특허가 일본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들이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에는 특허권 저촉문제 등 특허관리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 저자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1756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2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