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즈마와 생분자 및 플라즈마와 인체 조직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전문가 제언

플라즈마 의학은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다. 그러나 플라즈마의 살균력을 활용하는 노력은 오래전부터 이어지면서 이제 몇몇 분야에서는 성숙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외과용 재료의 살균이 그 예이다. 또한 일부 농업과 식품 분야에서도 플라즈마 살균 활용 시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들 모든 노력은 궁극적으로 전기장과 라디칼, 이온, 전자, 중성입자 등 플라즈마의 특성 요소들과 대상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에 의존하게 된다. 이는 대단히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 관계의 실험적 확인은 쉽지 않다. 그래서 플라즈마 의학에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전체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실험에 의하여 실제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이 기본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도 플라즈마 의학의 활용현황과 연구개발 방향은 국제현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의료용 살균 기술은 많은 국내 의료기관들이 이미 오래전부터 활용하면서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한 상태이다. 이 같은 수요에 따라 관련 장비를 개발하고 제작하는 벤처 업체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관심을 끄는 것은 플라즈마 의학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개발 현황이다.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전체 플라즈마 분야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만, 플라즈마와 의학을 연결하는 학제적 연구는 비교적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몇 가지 사례를 보면, KAIST 물리학과의 기체방전연구실에서 플라즈마 의학 관련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또한 광운대학교 플라즈마 바이오과학연구센터에서 피부의료용 플라즈마 장치를 개발하여 상품화했다는 보도가 최근 있었다.

 

플라즈마 의학 기술은 의료, 식품, 환경 등 미래 우리의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에서 많은 활용의 잠재성을 갖고 있다. 다행히 이 분야에 대한 세계적 수준도 아직 우리와 큰 차이가 없다. 늦기 전에 이 분야에 투자를 확대하여 새로운 미래의 기술로서 육성해야 할 것이다.

저자
Erik C Neyt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47()
잡지명
Journal of Physics D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9300101~29300117
분석자
은*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