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억제 유전자 돌연변이 보유자 치료용 전리방사선의 유방암-유발 영향 연구동향
- 전문가 제언
-
○ 국내 유방암 환자 중 가족성 유방암은 약 20%, 유전성 유방암은 약 7%를 차지했으며 유방암 유전자인 BRCA1와 BRCA2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갖고 있는 사람은 70세 이전에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70%, 난소암은 2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아울러, 국내 강남세브란스 암병원 유방암센터는 지난해 유방암 수술 중 방사선치료를 도입해서 치료 횟수를 10회 가량 줄이는 획기적인 치료법으로 많은 환자들을 성공적으로 치료하면서 국내 유방암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최근에 보도되었다.
○ 유방암 발생은 진단·치료용 전리방사선에 의한 장기간의 부작용에 연유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방사선-유발 유방암 발병 위험도는 추적검사용 피폭시간이 길고 방사선 조사선량이 높으며 연령이 젊을수록 증가한다.
○ 특히, 정상 DNA가 변이됐을 때 이를 수리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지닌 암 억제 유전자인 BRCA1/2의 돌연변이 보유환자는 이중-가닥 DNA 절단 복구능력의 손상에 기인하여 전리방사선의 유해한 영향에 더 민감할 수도 있다.
○ 이러한 민감도는, 유방 뢴트겐 조영기법(mammography) 이외에도, 젊은 BRCA1/2 돌연변이 보유자의 유방 원발암 진단용 방사선요법과 유방 절제술 등 유방 보존치료 중의 선택과정에 필히 고려되어야 할 중요성을 지닌다.
○ 본문에 개관된 BRCA1/2 돌연변이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전리방사선-유방암 연관성은 국내 유방암 치료분야에서도 재조명됨으로써 유방암 환자가 받게 되는 전리방사선의 부정적 영향을 극소화하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Jan C. Drooger, Maartje J. Hooning, Caroline M. Seynaeve, Margreet H.A. Baaijens, Inge Marie Obdeijn, Stefan Sleijfer, Agnes Jage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Cancer Treatment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87~196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