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사성 나노입자에 의한 암치료 기술 동향

전문가 제언

정부에서는 2020년까지 총 5,13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하여 나노융합 2020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나노의학 분야는 IT 산업에 버금가는 신성장동력으로 육성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 영상화 분야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산학연 협력에 의해 다방면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현재, 암치료 분야에서는 정맥주입에 의해 종양억제제를 종양 덩어리까지 배달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점이 주요한 한계점으로 대두되고 있는데, 방사성핵종으로 표지화된 후 전달 촉진 배달(CED: Convection Enhanced Delivery)에 의해 종양부위까지 잘 도달되는 나노입자는 훌륭한 방사선 운반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동시에 고체종양의 방사선 진단·치료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특정한 β-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화된 나노입자는 그 자체가 종양·신체 내의 분포와 국부선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치료할 수 있는 다기능성 진단·치료제로서, 특히 두뇌·두경부·기타 부위의 고체종양 치료에 유망하다는 사례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많은 관련연구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뚜렷한 핵심제품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서, 본문에 개관된 영상추적과 CED β-방출 방사성핵종 운반용 나노입자 기술에 대한 최근 개발동향은 이 분야의 연구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며 쾌적한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있는 현대생활에 암 질환에 대한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방법을 앞당겨 제공해줄 것이다.

 

저자
William T. Phillips, Ande Bao, Andrew J. Brenner, Beth A. Goin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6()
잡지명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9~59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