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Jilin성 트라이아스기 마그마성 Cu-Ni 황화물 광상의 PGE 고갈의 기원

전문가 제언

니켈(Nickel, Ni)은 지각 중에 0.03% 함유되어 있지만, 광석으로 이용되는 것은 황화물과 산화물이다. Ni은 은색을 띠며 대기나 수중에서 철(Fe)보다 안전하고 산화되기 어려우며 알칼리성에는 강한 내식성을 갖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 비철합금, 내식·내열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Ni을 함유한 주요 광석광물로는 pentlandite [(Fe,Ni)S; Ni = 20-40%], violarite (FeNi2S4), garnierite [(Ni,Mg)SiO3·nH2O; Ni=10-35%], nicolite(NiAs; Ni=43.9%), millerite(NiS; Ni=64.7%), polydymite(Ni4S5; Ni=59.4%) 등이다. 이 중 pentlandite는 동광의 부산물로 산출된다.

 

PGM(Platinum Group Metals)으로는 platinum, palladium, rhodium, ruthenium, iridium, osmium 등이 알려져 있다.

 

Ni은 호주, 뉴칼레도니아, 브라질, 러시아, 쿠바, 인도네시아, 남아공, 필리핀, 중국, 캐나다, 등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공급의 편재성 및 투기요소의 기세로 가격의 등락이 심하여 금속광종 중 투기적 요소가 강한 품목으로 손꼽히고 있다.

 

우리나라 Ni광상은 강원도 고성지역, 경기도 포천지역, 가평지역, 경북 김천-성주지역, 충남 홍성-연기지역, 충북 음성지역 및 전북 남원-장수지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Ni광상은 황철니켈석을 수반하는 선캠브리아기의 돌로마이트와 각섬암 중에 부존하는 열수교대광상, 화강편마암 중에 부존하는 녹색암맥에 Ni광상을 포함하는 광상 및 염기성암에 함유되어 편암 또는 결정편마암 중에 부존하는 광상 등이 있으나 품위가 낮고 매장량이 소규모이다.

 

세계적으로 Ni-Cu광상 중에는 PGE가 함유되는데 우리나라의 Ni-Cu광상 중에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저자
Libo Hao, Xinyun Zhao, Hugo de Boorder, Jilong Lu, Yuyan Zhao, Qiaoqiao We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Ore Geolo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6~237
분석자
오*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