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화물 반도체 박막트랜지스터 기술 및 응용

전문가 제언

IGZO(InGaZnO)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로 만든 TFT(Thin-Film Transistor)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IGZO TFT는 누설전류가 작아 리프레시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IGZO의 전자 이동도는 비정질 실리콘의 20~50배에 이르기 때문에 TFT회로를 소형화할 수 있어 개구율 증대 및 고정밀화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TFT 제조 공정의 대부분을 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IGZO TFT 2004년에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와 도쿄공업대학 호소노 히데오 교수팀이 개발하였으며, 샤프는 이 기술을 이용해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용 액정표시장치 패널을 생산하고 있다.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가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1년에 삼성전자에, 2012년에는 샤프에 라이센스를 제공했다. 샤프는 2012년 세계 최초로 IGZO TFT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의 양산을 시작했다.

 

샤프는 저온폴리실리콘 기술에 비견되는 산화물 반도체 TFT 기술을 개발했다. 소자 구조가 간단한 채널 식각 형 구조를 채택하고 초저누설, 고내전압, 최소 소자 면적을 달성하여 높은 정밀도 및 개구율을 확보하고 프레임 폭이 좁은 디스플레이를 실현했다. 본고에서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샤프의 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삼성디스플레이와 엘지디스플레이가 IGZO TFT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 등 중소형 기기용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TFT 액정디스플레이 생산 시설을 산화물 TFT 액정디스플레이용으로 전환하거나 신규 시설을 확충하고 있다. 기술 우위 확보 및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TFT와 배선 등 비투과 영역의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화소수의 비약적인 증가로 인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프레임 폭을 축소하기 위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
Naoki Ued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5
권(호)
2015(108)
잡지명
シャ?プ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1~25
분석자
송*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