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반구축 사례
- 전문가 제언
-
○ 현재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각 사업자로부터 제공되고 있으며 개인 이용에 그치지 않고 기업·단체에서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그 이용형태는 자사 내에 구축,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외부 데이터 센터에 설치 등 다양하다. 더욱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 등 여러 환경(하이브리드 환경) 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향후는 다양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전개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글에서는 NEC의 클라우드 기반구축 사례에 관해 설명한다.
○ 클라우드의 이용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클라우드의 저해요인을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 첫 번째가 데이터의 확실한 보장이다. 어떠한 원인으로도 데이터의 유실 또는 파괴로부터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 다음은 데이터의 보안이다. 클라우드 이용자의 데이터가 해킹당하거나 유출 또는 변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확실한 보안대책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은 경제성이다. 자사에 구축할 때의 비용보다는 저렴해야 하고 이용이 간편해야 한다.
○ 구글이나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들의 전략은 점차 소비자 시장을 넘어 클라우드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IT 구매자 시장까지 포함하는 통합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기술은 아직 초보단계로 KISTI 및 ETRI 그리고 일부 업체를 통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IaaS 형태의 서비스가 출시되기 시작하였다.
○ 국내의 클라우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클라우드 사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고 효과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이 개발되어야 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제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안전성 검증 체계와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성 강화가 필요하며 클라우드 전문가 양성도 시급하다. 그리고 공공부문이나 기업도 업무혁신에 의한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Hashitani Naok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67(2)
- 잡지명
- NEC 技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0~14
- 분석자
- 신*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