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모바일 센서로서의 자동차

전문가 제언

차량에 고가의 센서를 장착하여 주변 환경이나 운전자를 모니터링 하는 방식에서 IT 융합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기술(V21, V2V, V2N & V2X)을 접목시키는 방안을 통하여 개개의 차량은 물론 교통체계의 전체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차량기술은 새로운 교통문화(차량공유시스템, 군집주행)의 개발과 또 다른 교통체계의 연구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자동차 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의 판단착오(16%)와 사고인자 발견 지연(50%)이라는 통계가 있다. 자율주행이라는 미래형 자동차의 실현에 앞서 능동형 안전(Active Safety)’이라는 키워드가 중요하다. 이는 운전자에게 주위상황을 쉽게 인지하도록 해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핵심기술이다.

 

보다 안전한 자동차 실현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행환경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인간의 감각을 대신하는 센서가 차에 장착돼 주행 중 주위환경을 인식하고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지원하는 것이다.

 

EU의 자동화에 관한 iMobility 실무 그룹은 자동화와 운전자의 역할 부담 정도에 따라 운전보조(Driver assistance), 부분 자율주행, 고수준의 자율주행, 완전 자율주행으로 나누고 있다. 모든 자동차 메이커들의 목표인 완전 자율주행은 시스템이 종방향과 횡방향 제어를 하며 운전자가 수동운전을 하지 않을 때 시스템은 자동으로 위험 최소화 상태를 유지하며 운전하는 것이다.

 

각종 센서들은 특성, 활용도가 다양하다. 이러한 센서 신호들의 융합을 통해 각 센서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센서 융합기술의 학술적인 방법은 논문 등을 통해 소개되고 있으며 검증된 실제 적용사례도 많다. 그러나 아직 완벽하지 못한 부분을 우리가 해결해 차량용 센서 기술 국산화와 세계화를 이뤄야 할 것이다.

 

저자
Sherin Abdelhamid, Hossam S. Hassanein, Glen Takaha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34()
잡지명
Procedia Comput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86~295
분석자
심*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