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커뮤니티의 실제 구현 프로젝트
- 전문가 제언
-
○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진전되어 2050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67%가 도시에 살 것이란 전망이 있으며, 도시 인프라 연결과 자원부족이 심화되어 기존도시 인프라에 ICT(IoT)기술을 접목하고, 특히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려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주목받고 있으며, 국가별 협력이 증가되고 있다. 최근 인도의 프로젝트에 미국의 진출이 활발하며, 일본의 해외 프로젝트 참여도 벤치마킹 대상이다. 유럽은 영국, 덴마크, 네덜란드, 스페인, 프랑스 등이 활발하다. 국내도 최근 제주도에 이어 부산 시와 SK텔레콤 컨소시엄이 미래창조과학부의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2020년 IoT 기반 스마트시티 시장에서 스마트 빌딩 및 홈은 45%, 35%를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며, 스마트 교통은 6.6%, 설비는 7%, 공공서비스부문은 3%의 예상이 있다. 스마트시티는 IoT 기반의 시설과 장치, 기기에 내장된 센서로부터 연결성을 확보하여 상호운영성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 경제성, 안전성, 편리성을 제공하고 최적화된 IoT의 가치를 구현한다. 스마트 시티는 ICT(IoT)를 기반으로 구축되지만 스마트시티 구축 자체가 IoT 구현 환경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 본고에서 도시바와 도시바솔루션(주)이 프랑스 리옹 시의 재개발 지역에서 스마트 커뮤니티(시티)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 사업은 도시바 그룹 등 일본의 우수한 에너지 관련기술을 건축물이나 교통시스템에 도입하여 에너지의 스마트한 사용방법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며, 태양광발전을 대표로 하는 재생 가능 에너지의 생산지 소비모델, 도시계획 지원 툴 등의 제공을 통하여 지속성장 가능한 모델 도시를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스마트 커뮤니티(시티) 조성은 막대한 초기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성이 있어도 사업타당성이 부족한 실증사업은 중도에 중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어, 실증사업을 통해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시스템·기기와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비용대비 효과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기반에서 보급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자
- Nobutaka NISHIMURA, Hiraku ASAKURA, Naoki YAMAGUC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5
- 권(호)
- 70(2)
- 잡지명
- 東芝レビ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7~21
- 분석자
- 권*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