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지향 하이브리드 접속망과 클라우드 아키텍처
- 전문가 제언
-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정보처리를 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스토리지, 응용 S/W, OS 등 필요한 IT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많은 통신운영자는 자신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설치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가시화하고 고객에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및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사용방식에 따라서 폐쇄형 클라우드(Private Cloud), 공개형 클라우드(Public Cloud) 및 혼합형 클라우드(Hybrid Cloud)로 분류하기도 한다(Barnatt, 2010). 이 글에서는 서비스 지향 하이브리드 접속 망 및 클라우드 아키텍처(SHINE: Service-Oriented Hybrid Access Network and Clouds Architecture)라는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종 접속과 코어 네트워크로 구성된 클라우드로 데이터 센터(DC: Data Center)를 제어하여 전체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처리량과 대기시간 면에서 전체성능을 최대화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업은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다. 이 중에서 아마존과 구글은 빅데이터 원천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한 기업으로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외부에 제공하게 되었다.
○ 국내 클라우드 기술은 늦게 출발하여 삼성 SDS, LG CNS, SK C&C 및 KT 등 IT 서비스업체가 관련 사업을 추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사업을 시작하였다. 삼성 SDS는 2007년부터 IaaS 형태의 ‘USEFLEX’ 서비스를 제공하고, LG CNS는 2009년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핵심 아키텍처와 LG CNS의 가상화 기술을 결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는 주로 IaaS 형태의 사업들이 주를 이루는데 앞으로는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개발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Luis Velasc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53(4)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59~165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