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uO 나노입자를 사용한 화학작용제 제독

전문가 제언

화학작용제로 오염된 지역을 제독할 경우에는 CaO와 CaOCl2를 주성분으로 한 STB(Super Tropical Bleach)가, 장비를 제독할 경우에는 diethylene triamine, 2-methoxy ethanol, NaOH를 주성분으로 한 제독용액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독제들은 제독성능은 우수하나 환경유해성과 장비 부식성이 높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이들을 대체할 새로운 제독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다.

 

나노크기의 금속산화물들은 흡착성과 촉매반응성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화학작용제 제독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는 가치가 있으며, 여러 화학작용제들에 대해서 우수한 제독성능을 보이는 나노 금속산화물의 탐색과 합성법 연구, 나노 금속산화물과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기존 흡착제와 복합재로 제조하여 적용하는 방안 연구 등이 앞으로 바람직한 연구방향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금속-유기물 골격체(MOF: Metal Organic Framework)와 같이 환경오염 물질제거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물질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새로운 화학작용제 제독제 연구개발에서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sulfide 화합물인 수포작용제들(blister agents)이 phosphate 화합물인 신경작용제들(nerve agents)보다 가수분해(hydrolysis) 되기 어렵기 때문에 주로 수포작용제나 그 유사작용제들을 대상으로 제독효과가 연구되고 있으나, 앞으로 GD나 VX와 같이 지속성이 강한 신경작용제들에 대한 연구결과들도 추가되어야 한다.

 

국내에서 부식성이 낮은 수용성 제독제, 저온 플라즈마와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한 제독방법, 피부제독을 위한 고분자 흡착/분해제 등의 연구개발 경험과 화학작용제 제독성능 시험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환경오염 방지기술 연구 분야에서 독성 오염물 제거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나노 흡착제, 나노 촉매, MOF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제독제 연구개발을 국내에서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저자
Monu Verm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438()
잡지명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2~109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