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즈니스와 표준화

전문가 제언

기업은 어떤 서비스를 비즈니스화 할 것인가에 착안하여 그 서비스를 가장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통신방식이나 포맷을 표준으로 제안하여야 한다. 기술의 표준화 채택이 바로 그 기업의 성공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소비자들이 인정해 주는 가치를 찾아내는데 주력해야 한다. 표준화를 통해서 어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확실히 파악한 후 적절한 타이밍에 표준화를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

 

표준은 종래형과 신형의 2 가지 형태가 있다. 종래형 표준은 제품의 종류, 형식, 치수, 품질, 성능, 생산/설계방법, 분석, 용어, 단위, 측정방법, 건설물의 설계와 시공방법, 안전조건 등을 포함한다. 신형 표준은 제품 자체에 대해 기술하는 것이 아니고, 업무 절차 또는 서비스의 당연한 자세에 대해 규정하며 국제표준으로 그 숫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국제표준은 국제시장을 형성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이라고 생각되며, 비즈니스의 성공과 특허활동의 두 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비즈니스를 창조하는 표준은 상품 자체에 관한 규격이 아니고, 그 상품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사용하는 사람과 서비스에 관한 것, 또는 그 상품의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사회적 규범과 같은 것이 요망된다.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는 기술 그 자체를 규격화 할 뿐 아니라 그 기술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한 규격을 목표로 한다. 표준화의 궁극적 목표는 사회적 문제나 서비스 등 상품 가치의 상류에 어울리고, 동업자와 상호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하여 해당 기술의 시장 확대 또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다.

 

○ 일부 국가는 표준 설정이 자국의 산업을 보호한다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자국의 사용자들에 대해 기술 비용을 높여 기술의 출시, 확산 및 사용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자국의 산업을 억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정부는 업계 주도의 공개 표준 절차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법률 및 규제 틀을 제공하고, 대리인 또는 중재자 역할로 국제 표준 기구들과 논의하고, 기술의 속도보다 느리지 않도록 의사결정을 주도하여야 한다.

저자
Yoshiaki Ichik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5
권(호)
69(1)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51~56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