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도성 고분자 PEDOT/PSS의 전기전도성 향상을 목표로 한 계층구조 제어

전문가 제언

컴퓨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통신기기의 디지털화 및 급속한 고성능화에 따라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실현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용 전극재료가 투명하면서 낮은 저항값 및 기계적 충격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높은 유연성을 가져야 하며 고온에서도 단락 또는 면 저항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디스플레이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투명전극의 재질은 ITO(인듐주석산화물)이다. 그러나 투명전극을 ITO로 형성할 경우 과도한 비용이 들고 대면적을 실현하기 어렵다. 특히 대면적으로 ITO를 코팅하면 면저항의 변화가 커서 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발광효율이 감소하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다. 또한 ITO의 주원료인 인듐은 한정되어 있는 광물이며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장함에 따라 급속히 고갈되고 있다.

 

이와 같은 ITO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우수한 유연성을 가지며 코팅공정이 단순한 PEDOT/PSS를 사용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투명전극을 PEDOT/PSS로 형성할 경우 투명전극의 면 저항이 높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PEDOT/PSS로 형성된 투명전극의 면 저항을 낮추기 위해 디메틸술폭시드(DMSO), 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등을 첨가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 논문은 고휘도 방사광을 이용한 X선 회절실험에 의해 PEDOT/PSS의 특징인 구조계층성과 전기전도성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밝힌 결과와 고전기전도화를 목표로 한 배향성 고체막의 제작, 구조물성 평가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각 대학교 산업협력단들과 삼성전기 등에서 PEDOT/PSS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투명전극필름 제조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제막 시에 에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한 전도성 향상 및 웨어러블 관련 전원, 소형통신기기의 전원 및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 등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저자
Honma Yut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4)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3~28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