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흑물질 후광에 의한 CMB 렌즈현상

전문가 제언

우주 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CMB)는 관측 가능한 우주를 균일하게 가득 채우고 있는 마이크로파 열복사다. 광학 망원경으로 관찰한 우주는 빈 어둠뿐이나, 전파 망원경을 통해 관찰하면 별이나 은하 등과 관련이 없는 배경 복사가 관측된다. 이 우주배경복사의 미세한 온도변화가 현대우주론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공로로 NASAJohn Mather박사와 UC 버클리의 Geoge Smoot 교수가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이 리뷰는 Stony Brook 대학 물리. 천문학과를 비롯한 미국과 남아프리카, 이탈리아의 23개 대학과 연구기관의 43명의 과학자가 공동연구로 참여한 ACT 프로젝트 연구실험 결과를 PRL 114(15) 2015년 최신호에 발표한 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ACT 공동연구그룹은 이 리뷰에서 질량이 태양의 ( )인 암흑물질 후광에 의한 우주 배경복사 관측으로 중력렌즈 존재를 SDSS-III/BOSS 관측 데이터로 확인하였다.

 

우주거대구조 탐사사업인 SDSSs( Sloan Digital Sky Survey)는 약 1백만 개의 외부 은하의 밝기와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은하들의 3차원 공간분포 지도를 작성하여 우주 물질요동의 파워측정을 한다. 한국도 2004년부터 고등과학원을 대표기관으로 하여 서울대, 연세대, 부산대, 경북대, 경희대, 한국 천문연구원 등 8개 기관의 교수 및 연구원 대학원생 등 30여 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은 2015년에 한국형 발사체와 인공위성 개발과 우주기술 산업화 기술개발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작년보다 21%가 많은 6,187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계획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의 중남미 순방 기간에 칠레 과학기술위원회와 천문우주과학 분야 협력을 위한 MOU를 채결하였다. 이 리뷰의 CMB 관측데이터는 칠레의 ACT 관측소에서 얻은 결과다. 한국의 우주과학 연구 환경이 더욱더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면서 이 리뷰를 추천한다.

저자
Mathew Madhavacheril,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5
권(호)
114(15)
잡지명
Physical Review Lett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15130201~15130208
분석자
윤*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