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혈압

전문가 제언

최근 국내 질병관리본부의 보고에 의하면 성인의 만성질환 중 고혈압이 사망률 1위로 차지할 정도로 증가되었으나 이와 같은 현상은 앞으로 더욱더 늘어날 것이라는 매우 어두운 전망을 하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에 대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고혈압은 다른 질환과는 달리 진행 중 다양하면서도 아주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 이의 실체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 언급된 일본의 고령자는 만 65세 이상이기에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인 개념에서는 같은 인식으로 이해하고 있어 우리와 큰 차이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WHO에서의 정상성인의 혈압치는 110/70mmHg이나 고령자의 경우, 나이와 더불어 자연스레 상승해지는 혈압을 고려하더라도 140/90 미만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겠다.

 

일본에서는 전기 고혈압 관리 목표를 140/90 미만으로(국내도 마찬가지)하고 있어 차이가 없으나 당뇨병환자에게는 130/90 이하로 관리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혈압의 경우, 2mmHg 감소만으로도 심장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현저히 줄인다는 보고도 많아 혈압관리의 중요성을 더욱더 실감케 해주고 있다.

 

고혈압은 지속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해 혈압이 떨어졌다고 해서 중단한 경우 약 6주 후부터 51%가 원래의 고혈압 상태로 되돌아갔다는 사례보고를 보더라도 투약을 중지할 경우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자는 복용하고 있는 약제의 주성분이나 작용 기전, 부작용 등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제대로 된 관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고혈압 관리는 약물요법 못지않게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있어 이를 잘 준수토록 해야 한다. 국가에서는 특히 고령자고혈압에 대해서는 심각한 합병증예방을 위해서도 여기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신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Takeya Tar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66(3)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45~449
분석자
강*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