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능형 교통체계(ITS)에 의한 미래창조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시범사업, 미국의 Safety Pilot, 유럽의 Drive C2X, 일본의 에너지 ITS 프로젝트 등 각국에서는 지능형 교통체계(ITS)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들을 수행하고 좋은 성과를 거두면서 ITS 실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과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선진 각국은 ITS의 실용화와 시장 선점을 위한 국제적 경쟁을 치열하게 전개하고 있는데 이 자료는 2030년의 미래사회가 ITS에 요구하는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해 갖추어야 할 사항들을 비교적 상세하게 정리하고 있다. 이는 일본뿐만 아니라 ITS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이 용이한 유럽과 일본 및 한국 등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기도 하다.

 

중국이나 미국 등과 같이 광활한 국토를 가진 국가들은 ITS와 같은 고도의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이들 국가는 도시와 기타 지역으로 나누어 ITS 시스템을 갖추어나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차세대 자동차시장은 여전히 중국과 미국이 될 것이므로 이를 고려한 자율형 자동차와 ITS 이용 자동화 자동차의 개발전략을 분리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ITS 분야에서 에너지 및 환경 측면의 과제로는 교통 분야에서 CO2 배출량의 약 90%를 차지하는 자동차의 전동화가 필요하며 또한 가정 및 지역적 에너지대책과의 융합이 필요하다. 에너지 소비 저감과 온실가스 배출량 억제를 위해서는 차량 각각의 연비 향상에 추가하여 교통흐름의 원활화와 공공교통 등 다양한 교통수단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 하는 등 종합적이 교통대책의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2030년의 미래상을 내다보면 ITS의 기능과 역할로 인한 사회적 변혁은 지금의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사회, 문화 및 경제적 활동에서 큰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의 새로운 교통사회에 대비하여 우리가 무엇을 준비하고 대응해나가야 할 것인지를 생각해야 할 것이다. 특히 IT강국인 우리가 개발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매우 많은데 이를 적극 개발하여 우리의 경쟁력과 역할을 확대해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H. Ama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69(1)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5~50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