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물 우유에 존재하는 곰팡이독소

전문가 제언

이 연구의 목적은 동물 우유에 존재하는 곰팡이독소에 대한 최첨단 개요를 제시하고, 우유 속의 곰팡이독소의 잠재적인 존재에 관한 연구 활동을 검토하는 것이다.

 

식품에 이물질의 존재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인체의 노출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게 되고 장기간에 걸쳐 독성화합물의 적은 복용량의 섭취와 관련하여 인체의 건강위험을 평가하게 된다.

 

2015년 3월 미국 오트밀 제품 중 일부에 Ochratoxin A(OTA)의 곰팡이류 관련 독소가 함유돼 있다는 한 연구결과가 발표됨에 따라 귀리와 시리얼과 같은 제품의 곰팡이독소를 자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미국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에서 경고했다.

 

OTA는 동물실험에서 신장암과 관련이 경고되어 있으며 인체 위험성에 직접적 연관성은 아직 발표된 바 없다. 돼지, 건조과일, 와인, 커피 등에서도 발견됐지만, OTA는 미국 소비자에게 위험성 또는 우려 물질로 등재되지 않았다. 유럽연합에서는 OTA 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국내연구로는 2012년 노 등은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가 생산하는 곰팡이독소”를 발표한 바 있고, 2000년 김은 “밀, 콩 및 옥수수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주요 곰팡이독소의 탐색 및 방제” 연구와 또 1991년 이는 “사료에서 진균의 독성 검출과 곰팡이독소가 가축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다.

 

식품으로 인한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급성증상이 나타나는 세균성 식중독만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세균성 식중독은 잠복 기간이 짧아 급성으로 나타나지만, 곰팡이독소 중독은 주로 만성으로 나타난다. 앞으로는 미생물성 식중독을 세균성 및 곰팡이성의 2개로 구분해야 하고, 곰팡이독소를 자연독소의 범주에 포함하는 것은 적당치 않다. 특히 곰팡이독소의 경우 간암 발암성 등 만성적이기 때문에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계속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본다.

저자
Myra Evelyn Flores-Flore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3()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63~176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