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진균감염에서의 자연면역활성화 분자기구

전문가 제언

항암제의 사용에 따른 면역력의 저하, 장기이식이나 조직이식에 따른 면역억제제의 사용, 에이즈의 확대 등으로 진균감염증이 증가하고 있어 진균감염에 대한 생체방어기구의 해명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생체방어기구를 밝히는 일은 항진균제 개발을 위한 치료 표적의 발견이나 백신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FDA는 2015년 3월 일본 아스텔라스 파마 사의 새로운 항진균제 ‘크레셈바’(Cresemba: 황산염 이사부코나졸)의 발매를 승인했다. 크레셈바’는 진균의 세포내벽을 표적으로 작용하는 아졸계 항진균제의 일종으로 중증 감염증에 속하는 성인 침습성 아스퍼질러스 증 및 침습성 털곰팡이 증 치료제이다.

 

식약처의 국내 개발신약 허가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5년 4월 현재 22건에 이르는 국내 개발 신약 중 항진균제 관련 신약은 아직 등재되어 있지 않다. 최근 5년간 국제학술지 등재 내역을 보면 진균감염과 면역 활성화를 주제로 한 국내의 연구 성과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나, Dectin-1에 의한 숙주방어 신호전달 과정에서의 면역조절작용을 밝힌 서울대 생명과학부 연구팀의 연구는 주목할 만하다(Biomol Ther. 2012 Sep;20(5):433-45).

 

진균의 세포벽은 주로 만난, β-글루칸, 키틴 등 동물세포에는 없는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균의 병원체연관 분자패턴(PAMPs)로 패턴인식 수용체(PRRs)에 인식된다. 패턴인식 수용체에서 비롯하는 신호전달 경로의 해명은 항진균 면역부활제의 개발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암치료를 위한 면역부활 요법의 개발에도 유효하리라 생각한다.

 

저자
Keiko ISHII, Kazuyoshi KAWAKAM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52(2)
잡지명
化學と生物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3~90
분석자
정*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