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에너지 투자에 대한 에너지 회수기간과 에너지 회수율

전문가 제언

이 자료는 현재까지 제조되고 있는 각종 태양전지기술별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내재에너지(embedded energy)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에 투자된 에너지의 에너지 회수율(EROI)와 에너지 회수기간(EPBT)을 분석 및 비교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내재에너지 양은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가 가장 많고 CdTe 태양전지의 경우가 가 가장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내재에너지 양이 많은 기술이 에너지 회수율(EROI)이 가장 크고 반대로 적은 기술이 에너지 회수율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에너지 회수기간의 순서는 에너지 회수율과 반대이다. 이는 일견 당연한 결과로 보이지만 산출된 내재에너지의 양이 얼마나 정확하게 분석되었는지는 별도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기술평가의 한 방법으로 기술에 대한 투자에 대해 투자비 회수기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왔는데 내재에너지를 산출하여 기술에 투자된 에너지에 비해 회수되는 에너지에 대한 연구는 에너지기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다. 특히 순수한 금전적인 평가보다는 에너지적인 측면의 평가는 앞으로의 에너지기술 보급에서 큰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에너지기술 연구에 대한 새로운 측면의 접근이며, 특히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기술의 효율이 낮아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과거에 태양전지의 효율이 낮고 금전적인 투자만을 고려하였을 경우의 관점이므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에너지적인 측면에서 태양광발전기술이 여타 석탄발전이나 석유발전과 같은 수준의 에너지 회수율이나 회수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태양전지기술이 발전하면 태양광발전의 보급이 획기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태양광발전 정책에서도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Khagendra P. Bhandari, Jennifer M. Collier, Randy J. Elingson, Define S. Apu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7()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3~141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