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철강 부식과 환경취화 연구의 진보와 장래

전문가 제언

본 자료에서는 철강의 부식과학과 방식기술의 역사적인 변천을 분석하고 철강의 대기중에서의 부식과 환경취화에 있어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으므로 향후 철강관련 기업체에서의 내부식성 강의 제조기술에 관한 연구방향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내후성강은 미세한 녹(rust) 입자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녹층일수록 환경차단기능(방식효과)이 있지만, 방식효과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완전히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Evan 모델, 합금원소, 환경인자 등과 관련시켜 연구를 계속하여, 저합금원소를 함유한 내후성강에 대해서 오랜 기간동안 자연방식이 될 수 있는 제조기술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부식생성물과 부동태피막, 생성 녹의 정체와 부식기구 등을 상세하게 해석하고 철강의 부식연구를 더욱 활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내 학교, 연구기관 및 기업체에 산재해 있는 X선회절법, 투과전자현미경법, X선 마이크로아나리스(microanalyse), 오제이전자분광법(AES), X선광전자분광법, 적외선흡수분광법, 라만분광법, 방사광시설(SPring-8) 등에 대한 분석기기의 차이점 및 가장 효율적이고 정통적인 분석기술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철강제조회사에서 새로운 저합금 내식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조건에 상응하는 수용액의 pH, 양이온?음이온 농도, 온도 등과 같은 녹의 생성인자를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 특히 녹 생성물의 나노마이크로 구조, 조성, 형태, 반응과정을 연속적으로 관찰한 장기적인 부식성 시험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철강의 제조기술을 정립해 나가야 한다.

 

철강의 부식피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면처리(고주파담금질에 의한 표면압축응력화, 도장피복 등), 환경제어(inhibitor 등), 전기방식법(음극방식법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특히 철강재료의 강도가 높아지면 음극전위 인가에 따른 수소흡장에 의한 수소취성, 지체파괴, 부식피로와 같은 환경취화감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국내 철강제조사에서는 내부식강의 제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저자
Takenori NAKAYAMA and Hidekazu TAN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100(9)
잡지명
鐵と鋼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089~1096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